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야경촬영을 위한 기본 셋팅법
    ■출사지■/사진촬영 2013. 10. 11. 17:54

    야경촬영을 위한 기본 셋팅법

     

    1. 사전 준비물

     

    1-1 날씨 : 기왕이면 공기중에 먼지가 적은 맑은 날로 선택을 하셔야 합니다.

    비온 다음날이나 태풍전야?

     

    1-2 삼각대 : DSLR을 소장하고 계신분은 기왕이면 기계값의 20~30%정도 범위내에서 투자를 하셔서 삼각대를 구하시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롭습니다. 알루미늄삼각대를 사용하다 넘어져 장비와 렌즈를 하늘로 보내시는 분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1-3 릴리즈 : 릴리즈가 필요한 이유는 벌브에서 셔터를 열고 닫을 때나 셔터버튼을 누를 때 생기는 미세한 진동을 최소한 억제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릴리즈는 크게 유선 혹은 무선 릴리즈가 있습니다. 최근에 무선리모컨도 좋은 제품이 많습니다.

    릴리즈가 없는 경우는 셀프타이머 촬영을 하시면 됩니다.  바디 설정에서 셀프타이머 2초설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2. 현장 바디 셋팅

     

    2-1.  ISO 설정값 : 100 (최소값)

    ISO가 높으면 사진을 이루는 입자가 굵어져 전체적인 선예도가 떨어지거나, 노이즈가 발생하게 됩니다.

     

    2-2. 미러 쇼크 방지 : on

    DSLR은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이 바디의 미러를 통해 반사되어 우리가 뷰파인더로 보면서 사진을 찍을수 있게 만든 카메라입니다.

    야경 촬영에서 문제는 셔터가 열릴 때 이 미러가 함께 동시에 올라가면서 미세한 진동에 의한 쇼크가 발생합니다.

     

    - 카메라 메뉴에 들어가 미러 쇼크 방지를 on으로 설정합니다.

    - 기종마다 틀리겠지만 셔터버튼을 누르게 되면 미러가 먼저 작동해서 위로 올라가고 한 번 더 누르면 사진이 찍히게 됩니다.

    야경촬영 후 이 기능을 해제 안하시면 고장인 줄 오해하시는 경우도 있으니 까먹지 마세요.

     

    2-3. 측광모드 : 멀티패턴 측광

    야경사진은 부분만 측광하는 스팟이나 중앙부측광이 아닌 전체를 측광하는 멀티패턴 측광을 선택 하시면 됩니다.

     

    2-4. 노출모드 : M(수동모드)

    야경은 조리개값과 셔터값을 수동으로 맞춰가면서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조리개값은 쨍한 사진과 빛의 갈라짐을 위해 조여야 하는데 렌즈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F15을 넘기지 않는게 좋습니다. 너무 조이게 되면 화질 저하 등이 일어나며, 셔터 속도가 너무 길게 설정되어 바람이나 미세한 진동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게 됩니다.. 보통 조리개값을 F9-F15정도에서 설정하시면 좋습니다.

     

    셔터값이 조리개값과 연동되어 노출계를 보면서 설정하시면 되는데 통상 10~15초 정도 설정하게 됩니다. 저속으로 셔터값이 길어지면 자동차나 지나가는 물체의 빛이 궤적을 만드는 것을 사진에 표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현장여건에 따라 저 수치를 넘어서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2-5. 장시간 노출시 NR : on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장시간 노출 NR을 on에 설정합니다.

    ON 설정시, 셔터가 닫힌 후 노이즈를 제거하는 프로세스 작업을 마친 후 촬영이 종료하게 됩니다.

     

    2-6 IS나 VR 등 렌즈에 흔들림 보정장치는 끄도록 합니다.

    그런 기능들은 손으로 들었을 경우 보정되는 것이지 삼각대 등에 렌즈를 고정시킨 경우 더 흔들리게 사진이 나오게 됩니다.

     

    2-7. 필터 제거

    렌즈앞에 UV 또는 PL 필터가 물려있을 경우 반드시 이 필터를 제거하고 난 후 야경촬영을 합니다.

    야경의 특정한 빛이 렌즈의 반사각에 일치되었을 경우에는 필터에 반사되어 플레어가 생기고 그걸 다시 렌즈가 찍는 현상이 있기 때문에 플레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필히 필터를 제거해줘야 합니다.

     

    2-8. 렌즈의 거리계 : 무한대(∞)

    통상적으로 무한대(∞)로 맞추고 촬영을 하지만 특정한 피사체가 있는 경우나 강조하고 싶은 경우엔 그곳에 초점을 맞추셔도 무방합니다.

     

    2-9. 화이트 바란스(WB) : 귀차니즘에 AUTO로 놓고 사용하지만 바디셋팅에 보시면 WB설정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그래프나 온도값으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푸른 계열이 야경에 어울리긴 하지만 본인 취향에 맞게 조절하시면 됩니다.

    물론 후 보정을 염두에 두어서 RAW파일로 저장하는 분들은 AUTO로 놓고 작업해도 됩니다.

     

    3. 조명을 별모양으로 찍는 팁!

    비밀은 바로 빛의 양과 셔터스피드와 조리개의 값에 달려있습니다.
    셔터스피드와 조리개값에 따라서 다양한 별모양이 연출이 되는데,
    셔터스피드는 최소 20초(1/20 이 아니라 20")로 설정하시고, 조리개값은 높을수록(많이 조을수록)
     좋습니다(최소 16이상).

    ISO 100 / 셔터스피드 30" / 조리개값 F22 로 선택하고
    사진을 찍으면 별모양을 멋지게 잡을 수 있지요.

     

    빛이 여러갈래로 갈라지는 건 렌즈별 특성이니 개의치 마시고, 빛 갈라짐 현상이 렌즈별(볼록, 오목렌즈의 갯수)로 다르게 나옵니다.


    다양한 별모양을 만드시길 원하시면~ 위의 값들을 조금씩 바꿔가면서 찍어보시면 재미있는 사진을 찍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ISO 값도 주위의 빛의 양에 따라 조금씩 틀려지게 되는데, 빛이 비교적 밝은 곳에서는 ISO 100 또는 그 이하를 선택해주시고, 빛의 양이 비교적 적은 곳에서는 ISO 200~800 사이를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Designed by Tistory.